게재논문 작성요령

「유아교육연구」 게재논문 작성요령


개정 2022.07.01. 제42권 제5호 투고부터 적용

1. 원고 작성
  • 1) 원고는 한글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한다.
  • 2) 아래 기재되지 않은 기타 사항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논문작성법 7판(APA Style 7th edition, 미국심리학회)을 따른다.
 
2. 편집 규격과 양식 
  • 1)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의미의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단어 혹은 문장 바로 다음에 한자, 영어, 혹은 다른 원어를 괄호( ) 처리하여 병기한다.
  • 2) 편집용지는 A4 크기로 하며, 용지 여백은 상・하 43.5mm, 좌・우 37.5mm, 머리말 10mm, 꼬리말 0mm, 제본 0mm로 설정한다.
  • 3) 논문 편집 시 없는 글꼴은 신명조로 처리한다.
  • 4) 논문에 사용되는 글자와 문단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구분
    글꼴(효과)
    크기
    장평
    자간
    줄간격
    들여쓰기
    내어쓰기
    좌 여백
    우 여백
    논문제목
    신명조
    17.5
    80
    -3
    160
    0
    0
    0
    0
    한글저자명
    휴먼고딕
    11
    100
    -5
    160
    0
    0
    0
    0
    각주
    신명조
    8
    100
    -5
    140
    0
    0
    0
    0
    요약
    신명조
    8.5
    100
    -5
    160
    9.5
    0
    10
    10
    주제어
    양재 튼튼B
    8.5
    100
    -5
    160
    0
    30.8
    10
    10
    본문
    신명조
    10
    100
    -5
    160
    10
    0
    0
    0
    표/그림제목
    중고딕
    9
    100
    -5
    160
    0
    0
    0
    0
    표본문
    신명조
    9
    100
    -5
    130
    0
    0
    0
    0
    인용문
    신명조
    9
    100
    -5
    160
    0
    0
    30
    30
    참고문헌
    신명조, 중고딕
    10
    100
    -5
    160
    0
    20
    0
    0
    영문초록제목
    신명조
    11
    100
    -5
    160
    0
    0
    0
    0
    영문초록본문
    신명조
    10
    100
    -5
    160
    10
    0
    0
    0
  • 5) 논문 내용에 대한 ≪요약≫은 가로 80열, 세로 12행 이내로 작성하여 논문 첫 장 저자명 아래 부분에 제시한다.
  • 6) 주제어는 3~5개로 추출하여 ≪요약≫ 아래 부분에 한글과 영문(영문은 괄호 안에)으로 병기한다.
  • 7) 제목의 번호는 다음과 같다:
    • 1단계: Ⅰ, Ⅱ, Ⅲ … (글자크기 14, 신명조, 가운데 정렬)
    • 2단계: 1, 2, 3 … (글자크기 11, 중고딕, 들여쓰기 10, 양쪽 정렬)
    • 3단계: 1), 2), 3) … (글자크기 10, 중고딕, 들여쓰기 15, 양쪽 정렬)
    • 4단계: ⑴, ⑵, ⑶ … (글자크기 10, 신명조, 들여쓰기 20, 양쪽 정렬)
    • 5단계: ①, ②, ③ … (글자크기 10, 신명조, 들여쓰기 10, 양쪽 정렬)
  • 8) 논문 내용에 대한 영문초록은 가로 80열, 세로 20행 이내로 작성하여 참고문헌 다음 쪽에 제시하며, 영문 제목 밑에 저자와 소속(소속은 괄호 안에 대학교까지만 기재)을 기재한다. 영문 제목은 제일 첫 글자만 대문자로 기재한다.
    • 예) Hong, Kil Dong (University of Korea)

3. 각주
  • 1) 필요시에는 각주를 사용한다.
  • 2) 각주는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하고, 단순히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의 사용은 삼가 한다.
  • 3) 각주를 표시하는 위치는 해당 문장이나 용어 말미에 일련번호로 표시하고, 각주의 내용을 기록한다.
 
4. 본문 내 인용
  • 1) 직접인용
    • (1) 인용하는 내용이 40단어 미만인 경우에는 본문 속에 큰 따옴표를 하고 그 사이에 기술한다.
      • 예) 그들의 연구결과는 “…로 입증된다.”(홍길동, 2001:56)로 제시되어 있다.
      • 예) 그들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데, “…로 입증된다.”(홍길동, 2001:56-57).
    • (2) 인용하는 내용이 40단어 이상인 경우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하며 큰 따옴표는 생략한다. 인용 부분의 위, 아래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좌우 여백을 각각 30으로 설정한다.
    • (3) 본문에 인용한 문헌의 저자, 발행연도, 그리고 해당 면의 쪽수를 제시하고 참고문헌 목록에 기재해야 한다.
      • 예) 홍길동(2001:56-57)은…
    • (4) 쪽수를 기재할 수 없는 온라인 자료일 경우, 단락번호를 사용한다.
      • 예) 그들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데, “…로 입증된다.”(홍길동, 2001:단락 4)
    • (5) 저작권 소유자의 인용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인용부분 끝에 각주를 추가하고, 각주에는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를 받았다는 내용을 기재한다.
  • 2) 간접인용
    • (1) 1인 저자에 의한 문헌
      • 예) 이 문제에 관하여 홍길동(2001)은…
      • 예) 이 문제에 관하여 … 라고 보고하였다(홍길동, 2001).
    • (2) 2인 저자에 의한 문헌
      • 예) 김철수와 나영희(2003)는…
      • 예) 이 연구들은 … 라고 보고하였다(김철수, 나영희, 2003).
      • 예) Benson와 Corey(2000)는…
      • 예) …라고 하였다(Benson & Corey, 2000).
      • * 영어권 문헌의 경우 2인 저자의 성 사이에 쉼표(,) 없이 & 로 표기함
    • (3) 3인 이상 저자에 의한 문헌(APA 7th의 수정사항 반영)
      • ∙ 첫 번째 저자의 다음에 ‘외’(외국 저자일 경우 성 다음에 'et al.')를 붙인 후 연도를 표기한다.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였을 때 참고문헌이 중복되는 경우는 참고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수만큼 저자를 표기한다.
      • 예) 김철수 외(2003)는…,
      • 예) …과 같다(김철수 외, 2003).
      • 예) Borden et al.(2000)은…
      • 예) …과 같다(Borden et al., 2000).
    • (4)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국내 문헌, 동양 문헌, 서양 문헌 순으로 나열하되, 국내 문헌과 동양 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서양 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 예) 최근의 연구(홍길동, 2002; 毛澤東, 1977; Michael & John, 1990)에 의하면…
    • (5) 동일 저자에 의한 둘 이상의 문헌
      • ∙ 저자명을 쓴 다음에 출판연도에 따라 표기한다. 같은 연도의 문헌은 연도 다음에 a, b, c 등의 어미를 붙여 구분한다.
      • 예) 이론 중 하나는 홍길동(1997, 2005)이 제시한 …이다.
      • 예) 이론 중 하나는 김철수(1997a, 1997b)가 제시한 …이다.
    • (6) 단체명(약어 포함)을 기입하는 경우
      • ∙ 단체명의 경우 첫 번째 인용 시에 정식 명칭과 ‘[]’ 내에 약칭을 함께 기재하고, 그 이후는 약칭만 기재한다.
      • 예) 첫 번째: (United Nations [UN], 2021) / 두 번째: (UN, 2021)
  • 3) 개인 면담, 기록, 저널 등
    • ∙ 국내인의 경우에는 그 사람의 완전한 이름을 기입하고, 외국인의 경우에는 이름의 머리글자와 성을 적고 자료가 만들어진 날짜를 기입한다.
    • 예) (홍길동, 개인 면담, 2021. 6. 30)
    • 예) (J. M. Greene, personal interview, June 17, 2020)
  • 4) 법령
    • ∙ 본문에는 성문화된 연도가 아니라 법률로 발표된 법률명과 법률 실행연도를 기입한다.
    • 예) 유아교육법 제1조(1998)에 의하면…
  • 5) 재인용한 문헌의 경우
    • ∙ 재인용은 원저작물을 구할 수 없는 경우, 저자가 직접 번역한 경우, 2차 문헌의 저자가 원문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하며, 원저의 저자명을 쓰고 괄호로 묶어 재인용된 연구의 저자명과 재인용 연구의 출판연도를 제시하여 재인용 출처를 밝힌다. 참고문헌에서는 재인용 문헌만 제시한다.
    • 예) 김혜숙(1990: 홍길동, 2001에서 재인용)의 연구에서는 …
    •   …라고 하였다.(김혜숙, 1990: 홍길동, 2001에서 재인용)
  • 6) 번역서의 경우
    • ∙ 원저의 저자명을 적고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표기한다.
    • 예) 자유선택활동에 대하여 Honig(2001)은 …
 
5. 참고문헌 작성
  • 1) 단행본
    • (1) 국내 단행본의 제목은 중고딕으로 기입하고, 영문 단행본의 제목은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적으며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저자를 표기할 때는 모든 저자의 성과 이름을 차례로 제시한다. 저자 수가 7인일 경우까지는 모든 저자명 기입하고, 저자 수가 8인 이상인 경우에는 앞의 6인의 저자명을 쓰고 생략점(…)을 찍은 다음에 맨 끝의 저자명을 붙인다. 학회, 기관 등의 집단 저자일 경우에는 명칭 전체를 표기한다. 한 저자의 연구물을 여러개 인용할 경우에는 연도 순서대로 정렬한다. 또한 한 저자가 단독저자인 문헌, 공동저자(그 중 1저자)인 문헌을 둘 다 인용할 경우, 단독저자로서의 문헌 먼저 기입한다. 단행본 제목 뒤에는 출판사명을 기입하고, 식별정보(DOI: Digital Object Identifier)가 있는 경우 참고문헌에 대한 정확한 식별 및 접근을 위하여 기입한다(APA 7th의 수정사항 반영)
      • 예) 홍길동 (2004). 유아교육학. 한글사.
      • 예) Michael, W. B. (1991). Classroom assessment. Macmillan.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5.003
      • 예) Lamour, J. B. (1906). Momma and the meaning of life. Macmillan.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5.003

      • 예)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01). Development appropriate practice. Macmillan.
      • 예) Michael, W. B. (1991). Classroom assessment. Macmillan.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5.003
      • 에) Johnson, I. (2004).
      • Johnson, I., & Chen, C. (2000).
    • (2) 개정판 단행본
      • 예) 홍길동 (2004). 유아교육학 (개정판). 한글사.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홍길동 (1999). 유아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3판). 한글사.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Mitchell, Y. R., & Larwon, J. R. (1987). People in organizations: An introduction to organizational behavior(3rd ed.). McGraw-Hill.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ciences(Rev. ed.). Academic Press.
    • (3) 편집된 단행본, 백과사전, 사전
      • 예) 홍길동 (편). (2000). 학교상담 핸드북.한글사.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홍길동, 김철수 (편). (2000). 유아교육 대백과 사전(제3판, 제1-9권). 한글사.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Gibbs, J. T., & Huang, L. (Eds.). (1991). Children of col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with minority youth. Jossey-Bass.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Sadie, S. (Ed.). (1990-1993). The new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6th ed., Vols. 1-20). Macmillan.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2) 편집된 단행본의 논문이나 장(章)
    • ∙인용한 논문이나 장을 저술한 저자의 이름과 년도를 먼저 기재하고, 인용한 논문이나 장의 제목을 적고 마침표를 찍는다. 다음으로 단행본 편집자의 이름을 기재하고 ‘편’을 괄호에 묶어서 쉼표를 찍은 다음 단행본명과 인용한 논문의 장의 수록 쪽수를 기재한다. 영문서적의 경우, 편집자 이름 앞에 In이라는 단어를 붙이고 이름 머리글자와 성 순서대로 편집자의 이름을 기재한다.
    • 예) 안신호 (1997). 직장인이 추구하는 삶의 의미. 김명언, 박영석 (편),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pp. 388-440). 오름.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Yalom, I. V. (1994). Momma and the meaning of life. In B. Yalom (Ed.), Yalom readers(pp. 155-200). Prentice-Hall. https://doi.org/10.18023/kjece.209.39.2.22.
    • 예)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99). Consensual assessment.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2nd ed., Vol. 2, pp. 347-360). Academic Press.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3) 정기 간행물
    • (1) 학술지
      • 국내 정기 간행물의 학회지명 및 권수는 중고딕체로 기입하고, 영문 정기 간행물 학술지명의 모든 단어 첫 글자는 대문자로 기입하며 간행물의 학술지명과 권수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참고문헌에 대한 정확한 식별 및 접근을 위하여 식별정보(DOI: Digital Object Identifier)를 기입한다.
      • 예) 오채선 (2019).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39(2), 279-305.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2.
      • 예) Michael, W. B., & Freeman, D. J. (1992). Characteristics of teacher candidates. Educational Research, 62(3), 37-65.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5.003
    • (2) 잡지에 실린 글
      • 예) 김선달 (1997. 7). 내 생의 최고의 기쁨.좋은 엄마, 12, 82-137.
      • 예) 김현준 (2014. 5). 스마트폰 시대의 패자부활전. 월간중앙, 2014년 5월호. http://magazine.joins.com/monthly/에서 2016년 1월 2일 인출
      • 예) Chamberlin, J., Novetney, A., Packard, E., & Price, M. (2008, May). Enhancing worker well-being: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ists convene to share their research on work, stress, and health. Monitor on Psychology, 29(5), 26-29.
      • 예) Clay, R. (2008, June). Science vs. ideology: Psychologists fight back about the misuse of research. Monitor on Psychology, 39(6), 12-15. Retrieved June, 24, 2015 from http://www.apa.org/monitor/
    • (3) 신문에 실린 글
      • 예) 이성주 (2000. 10. 24). 엄마 사랑이 최고 치료약. 유아일보, p. A6.
      • 예) 이성주 (2000. 10. 24). 엄마의 사랑이 최고의 치료약입니다. 유아일보. http://www.hankookchild.com/에서 2015년 2월 3일 인출
      • 예) Schwartz, J. (1993, September 30). Obesity affects economic, social status. The Washington Post, pp. B5-B7.
      • 예) Brody, J. E. (2007, December 11). Mental reserves keep brain agil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ly, 25, 2013 from http://www.nytimes.com
  • 4) 역서
    • (1) 학술지
      • (1) 원저자명, 연도, 번역서명(중고딕체) 원전(영문은 이탤릭체), 역자명, 출판지, 출판사를 적고 원전의 출판 연도를 괄호로 묶어 제시한다.
      • (2) 괄호로 묶어 역자명을 적고 “역(혹은 편역)”으로 번역서임을 표시하고 마침표를 한다. 영문 역서의 경우 “Trans.(영문 편역서의 경우 Eds. & Trans.)”로 표기한다.
        • 예) Negroponte, N. (1996).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백욱인 역). 커뮤니케이션 북스. (원저 1995년 출판)
        • 예) Laplace, P. S. (1951). A philosophical essay on probabilities(F. W. Truscott & F. L. Emory, Trans.). Dover. (Original work published 1814)
  • 5) 학위논문
    • (1) 국내를 포함한 동양의 대학인 경우 저자명, 발행년도, 논문명(중고딕체)로 학위수여기관, 학위명 순으로 기재한다.
      • 예) 홍길동 (1992). 한국의 유아 교육 변천사 연구. 한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 서양대학의 경우는 저자명, 발행년도, 논문명(이탤릭체), 학위명을 적은 후 마침표를 찍고 학위수여기관을 적는다. 외국의 경우는 국가명(미국은 주명을 포함)을 표기한다. 미출판인 경우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로 나누어 기재할 수 있다.
      • 예) Ross, D. F. (1990). Unconscious transference and mistaken identity: When a witness misidentifies a familiar but innocent person from a lineu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MO, USA.
      •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master's thesis). Retrieved March, 15, 2015 from http://www.ohiolink.edu/etd
  • 6) 기술·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는 연구자, 발행년도, 보고서명(중고딕체), 연구물 일련번호(있을 경우 괄호에 넣는다), 연구기관, 출판사(있을 경우) 순으로 기재한다.
      • 예) 장상호 (1991).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연구보고 CR 2014-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글사.
      • 예) 장상호 (1991).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연구보고 CR 2014-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http://www.riss.kr/board/에서 2016년 3월 2일 인출
      • 예)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3). Managing asthma: Aguide for schools (NIH Publication No. 02-2650). GPO.
      • 예) U. 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3). Managing asthma: A guide for schools (NIH Publication No. 02-2650). Retrieved March, 15, 2015 from http://www.nhlbi.nih.gov/health/asth_sch.pdf
  • 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자료집
    • ∙자료집에 게재된 경우, 저자명 바로 뒤에 발표된 연도와 월을 괄호로 묶어 제시하고 마침표를 찍는다. 이어서 연구의 제목을 적고 마침표를 한 후 게재된 자료집명 또는 전체주제명(국문은 중고딕체, 영문은 이탤릭체), 자료집 발간 주체, 면수, 개최지역 및 장소를 적는다.
      • 예) 김금희 (2003. 3). 그림책 위인전에 나타난 주인공의 특성 분석. 21세기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66-74.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대강의동.
      • 예) Muellbauer, J. (2007, September). Housing, credit, and consumer expenditure. Housing and consumer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pp. 123-135. Jackson Hole, Miami, FL.
  • 8) 평론
    • ∙평론자의 발표된 연월일을 적고 제목을 적은 다음 괄호 안에 평론이나 논평임을 밝힌다.
      • 예) 김기태. (2021. 9. 10). 김기태의 초판본이야기 10 [도서평론 고래사냥: 최인호 장편소설, 최인호]. 출판저널, 525, 34-48.
      • 예) Georgio, P. (2002, March 7). No fire, no disco, no light [Review of the book Disco inferno, by D. Valentine]. Newsweek, 7(3), 34-35.
  • 9) 웹 자료(블로그, 영상 등)
    • ∙웹에서 인용한 문헌인 경우, URL주소에 하이퍼링크를 연결한다.
      • 예) 김혜금 (2002. 4. 13). 유아의 미술 감상지도. http://www.educare.or.kr에서 2002년 10월 8일 인출
      • 예) 김영희 (2007. 10. 22). 유아그림책 [블로그 포스트]. http://blog.naver.com/sgsdf에서 2008년 2월 22일 인출
      • 예) Smith, S. (2006, January 5). The unfortunate prerequisites and consequences of partitioning your mind. Retrieved April, 4, 2015 from http://scienceblogs.com/pharyngula/
      • 예) Norton, R. (2006, November 4). How to train a cat to operated a light switch [Video file]. Retrieved March, 15, 2015 from http://www.youtube.com/watch?v=Vja83KLQX
 
6. 표와 그림
  • 1) 표의 제목은 상단에 왼쪽 정렬로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 1>과 같이 표기한다. 단, 본문 내에서 기술할 때에는 ‘표 1에 의하면’,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등으로 <> 기호 없이 기술한다.
  • 2)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가운데 정렬로 일련번호를 붙이되, [그림 1]과 같이 표기한다. 단, 본문 내에서 기술할 때에는 ‘그림 1에 의하면’, ‘그림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등으로 [ ] 기호 없이 기술한다.
  • 3) 표를 그릴 때 최상단은 굵게(0.4mm) 그리며 좌․우측에는 선을 그리지 않는다. 가로 선은 범주에 여러 개의 하위 범주가 있는 경우, 내용이 많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한해 사용한다.
  • 4) 통계 결과를 작성할 때, 통계치(예:t, F, M, SD 등)는 모두 이탤릭체로 하고, 유의 수준 p는 표 하단 왼편에 제시한다. 통계 수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제시한다. 유의 수준(p)에서 *표시는 위첨자로 제시한다.

<표 4> 자아개념에 따른 유창성, 융통성 점수의 t검증 결과(N=104)
창의성
자아개념수준
n
M
SD
t
유창성
저 자아개념
고 자아개념
52
52
2.93
3.35
0.48
0.40
-4.85*
융통성
저 자아개념
고 자아개념
52
52
3.03
3.39
0.36
0.35
-5.08*
*p<.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