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 학술대회 및 워크샵 > 하계 질적연구세미나

하계 질적연구세미나

2023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년 한국유아교육학회 하계 질적연구 세미나

“질적연구자들과의 만남: 후기질적연구, 포스트코딩, Visual Methodology...”

∎ 개요

질적연구는 특정한 연구패러다임으로 주제를 명료화하고, 연구방법을 생성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연구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한국유아교육학회 하계 질적연구 세미나에서는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질적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모시고 그들의 철학과 연구설계, 자료수집 및 해석에 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 시간을 시리즈로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들 연구자들의 질적연구 경험에서 우러나온 생생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단순히 책에서 만날 수 있는 연구방법(론)에 대한 해설이나 설명이 아닌 살아있는 ‘질적연구하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함께 이야기 나누고,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할 수 있는 시간으로 마련하였습니다. 질적연구자들이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여러 가지 질문과 어려움, 그리고 그것들을 연구자들이 풀어나간 여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차시별 주제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그동안 만나보지 못했을 ‘후기질적연구’ 방법과 실제연구과정에 대한 소개와 함께 visual methodology로 이루어진 연구들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강좌내용을 확인해 주십시오. 모쪼록 질적연구에 대해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 학생들 모두 많이 참여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참여자의 ‘목소리’, 그 생생한 삶과 앎, ‘살아낸 경험(lived experiences)’을 이해하고자, 그래서 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질적 연구자의 꿈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질적연구는 과연 어떻게 작동해 왔으며, 어떤 잠재성이 표면으로 드러났고 어떤 잠재성은 주름 접혀 있는 것일까? 기법화된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경고음에 공명하면서 연구방법을, 데이터를, 우리의 삶과 앎을 새롭고 다르게 사유할 수 있을까? 이제 우리는 무엇을 욕망할 수 있을까?

(이진희 교수 강의자료 프롤로그 중)

  • ∎ 강좌 일정 및 내용

    차수 일시 주제 내용 강사
    1 2023.7.4.(화)
    19:00~21:00
    질적 연구자들의
    목소리와 그 너머
      질적연구의 역사  Re-Membering
      질적연구의 분투
      후기질적연구, 포스트휴머니즘, 신물질론과의
        접속
      (후기)질적연구자를 위한 제안과 새로운 시도
         들
    이진희
    (계명대
    유아교육과)
    2 2023.7.6.(목)
    19:00~21:00
    질적연구의 새로운
    접근: 후기질적연구
      후기질적연구의 등장배경과 포스트-철학
      후기질적연구자들이 선택하는 포스트철학과
        새로운 개념, 그리고 질적연구의 지형 변화
      유아교육에서의 후기질적연구
    이연선
    (부산대
    유아교육과)
    3 2023.7.11.(화)
    19:00~21:00
    포스트코딩
    질적연구: 이론을
    적용한 질적자료 분석
      질적연구에서의 의미 분석
      해석에서의 연구자 역할
      코딩의 이해
      회절로서의 이론
      포스트코딩을 향하여
    임민정
    (경북대
    아동학부)
    4 2023.7.13.(목)
    19:00~21:00
    Visual Methodology로 질적연구 시작하기:
    시각매체의 연구방법적
    이해와 활용
      질적연구에서 시각성(visuality)의 역사적
        개념과 중요성
      Visual Methodology의 특징과 방법, 윤리성
      Visual Methodology로 이루어진 연구사례
        소개
      유아와 함께 하는 연구방법에 대한 모색
    동풀잎
    (창원대
    유아교육과)
  • (매 차시별 강좌는 강의와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며 강좌 진행 방식은 강의 진행자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

  • ∎강사: 이진희
    • 현) 계명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논문:
    • 이진희 (2022). 포스트휴먼 유아와 만나기: ‘얽힌 되기’로서 유아 존재의 (재)형상화. 열린유아교육연구, 27(1), 213-235.
    • 이진희, 장윤미 (2022). 철학 이론을 회절하며 유아놀이 관찰 데이터 읽기: 스카프와의 마주침.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2(2), 50-72.
    • 이진희, 이은미 (2021). 유아 놀이에서 물질과 의미의 ‘얽힘’ 관찰하기: Barad의 행위주체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어린이교육비평, 11(2),
                 5-42.
    • 이진희, 허정민, 장은정 (2021). 한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놀이와 배움을 잇기 위한 보육일지 재구성 과정 및 의미 생성. 유아교육연구,
                 41(5), 95-128.
    • 이진희, 허정민, 장은정 (2020). 어린이의 놀이와 배움을 잇기 위한 기록 ‘다시 보기’의 실행 과정과 의미 생성. 유아교육연구,
                40(1), 291-318.
    • 이진희 (2020). 배움을 ‘위한’ 사회문화적 유아평가의 탐색: 방법론적 개인주의 벗어나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 791-815.
    • 이진희, 신은미 (2019). 들뢰즈의 철학을 통한 프로젝트 다시 읽기: 욕망과 선의 ‘배치’ 분석, 교육혁신연구, 29(1), 399-421.

    • 저서:
    • Thomas, M. K. E., & Bellingham, R. (2023). 후기질적 연구와 혁신적 방법론. 이진희, 최양미(공역). 창지사.
    • 이진희 외 (2023).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영유아교사의 윤리적 실천. 창지사.
    • Moss, P. (2021). 유아교육과 대안적 내러티브. 이연선…이진희(공역). 살림터.
    • 이진희 외 (2020). ‘함께-하는’ 유아평가: 경계를 넘나들며 대화 이어가기. 창지사.
    • 이진희 (2020). 유아교육·보육과 함께 걷는 평가: 3P(정책, 프로그램, 실제) 평가의 이해와 적용. 창지사.
    • Sellers, M. (2018).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손유진…이진희(공역). 창지사.
    • Lenz Taguchi, H. (2018).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신은미… 이진희(공역). 창지사.

  • ∎강사: 이연선
    • 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논문:
    • 이연선 (2023). 유아교육연구의 새로운 동향.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3(2), 1-18.
    • 노경민, 이연선 (2023). 유아와 세상의 관계맺기에 관한 후기질적 탐구: 유아의 사진찍기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3(1), 175-202.
    • 이연선 (2023). 읽기수행에 관한 후기질적연구: 포스트휴먼적 읽기와 유아교사~연구자 되기. 교육인류학연구, 26(1), 89-115.
    • 이연선 (2021). 들뢰즈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자녀양육경험을 통한 아버지-되어가기의 의미. 교육혁신연구, 31(2), 267-295.
    • 이연선 (2021). 유아교육과정 속 교사의 운동성 의미 탐구: 만 3~4세 혼합반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6(2), 151-176.
    • 이연선 (2020). 영유아 뇌 기반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4(3), 107-131.
    • 김민우, 이연선 (2020). 놀이터 포토 에세이. 미래유아교육연구, 27(2), 71-99.

    • 저서:
    • Moss, P. (2021). 유아교육과 대안적 내러티브. 이연선 외 (공역). 살림터.
    • Pacini-Ketchabaw, V. (2021). 물질과의 새로운 만남: 관계와 연결로서의 유아시기 교육 재료 탐구. 이연선 외 (공역). 살림터.
    • 이경화 … 이연선 (2018). 유아교사론: 유아교사-되기 운동. 학지사.
    • 이진희 외 (2020). ‘함께-하는’ 유아평가: 경계를 넘나들며 대화 이어가기. 창지사.
    • Davies B. (2017). 어린이에게 귀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변윤희…이연선(공역). 창지사.

  • ∎강사: 임민정
    • 현)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교수

    • 논문:
    • 임민정 (2022). 신유물론과 교사전문성: 영유아교사와 물질의 얽힘. 유아교육학논집, 26(1), 5-24.
    • 임민정 (2020). 보육현장에서의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유아교육연구, 40(1), 111-134.
    • 이상선, 임민정 (2020). 남성 보육교사의 대안적 부성 경험. 유아교육연구, 40(6), 131-155.
    • 김진아, 임민정 (2019).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도덕적 상상력 기반 교직윤리교육의 경험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211-232.
    • 임민정 (2018). 유아교육의 형평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혁신연구, 28(2), 347-367.
    • 임민정 (2017). 3세 또래놀이에서 나타난 소외와 저항. 유아교육연구, 37(4), 371-395.
    • 임민정 (2016). 포스트모던 텍스트로서의 질적 연구: 세 가지 이론을 통한 해체적 읽기. 유아교육연구, 36(2), 147-167.
    • 임민정 (2014). 시를 이용한 질적 연구 경험으로의 초대. 유아교육연구, 34(4), 35-54.

    • 저서:
    • 임민정, 임영심, 정정희 (2021). 영유아건강교육. 공동체.
    • 이영미, 임민정, 윤재희, 이승하 (2021). 영유아 사회교육. 공동체.
    • Gee J. P. (2017). 담론분석 입문: 이론과 방법. 이수원, 임민정, 박수경(공역). 아카데미프레스.

  • ∎강사: 동풀잎
    • 현) 창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논문:
    • 동풀잎 (2022).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유아들의 놀이와 학습에 대한 탐구: 디지털 놀이. 유아교육연구, 42(6), 357-383.
    • 동풀잎 (2022). 미디어는 정말 유아에게 해로운 것인가?: 한국사회의 유아 미디어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42(5), 29-51.
    • 동풀잎 (2022). 디지털 아바타를 통해 유아의 정체성 이해하기: 바흐친(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Dialogism)과 헤테로글로시아
                (heteroglossia)개념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5(1), 35-54.
    • 동풀잎, 전하윤 (2021). 유아와 교사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서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75-99.
    • 동풀잎 (2019). 유아 교실 속 디지털 사진이 구성하는 다양하고 예측불가능한 관계와 의미: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
                구, 22(3), 173-198.
    • 동풀잎 (2019). 유아들의 자발적인 디지털 카메라 놀이 속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 이해하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305-324.
    • 동풀잎 (2018). 후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한국 이민자 여아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일상적 실천 이해하기. 교육인류학연구, 21(2),
                 117-144.

    • 저서:
    • Dong, P. (2023). Children’s emerging play and experience in the Covid-19 era: Educational endeavours and changes in
                South Korea. In A. Beresin & J. Bishop (Eds.), Play in a Covid frame: Everyday pandemic creativity in a time of
                isolation (pp. 285-298). OpenBook Publishers.
    • 양옥승… 동풀잎 (2022). 유아교육개론. 정민사.
    • Johnson, J. E., .... Dong, P. (2020).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 N. Saracho & B. Spode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4th ed.) (pp. 165-175). New York: Routledge.
    • Henward, A. S., Dong, P. (2019). Digital learning and multiliteracy pedag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 Peters
                (Eds.), Encyclopedia of teacher education, Springer (online).
    • Johnson, J. E., & Dong, P. (2019). Methods of studying play. In P. Smith & J. Roopnarine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play: Developmental and disciplinary perspectives (pp. 399-41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