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 학술대회 및 워크샵 > 하계 질적연구세미나
∎ 개요
질적연구는 특정한 연구패러다임으로 주제를 명료화하고, 연구방법을 생성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연구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한국유아교육학회 하계 질적연구 세미나에서는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질적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모시고 그들의 철학과 연구설계, 자료수집 및 해석에 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 시간을 시리즈로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들 연구자들의 질적연구 경험에서 우러나온 생생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단순히 책에서 만날 수 있는 연구방법(론)에 대한 해설이나 설명이 아닌 살아있는 ‘질적연구하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함께 이야기 나누고,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할 수 있는 시간으로 마련하였습니다. 질적연구자들이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여러 가지 질문과 어려움, 그리고 그것들을 연구자들이 풀어나간 여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차시별 주제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그동안 만나보지 못했을 ‘후기질적연구’ 방법과 실제연구과정에 대한 소개와 함께 visual methodology로 이루어진 연구들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강좌내용을 확인해 주십시오. 모쪼록 질적연구에 대해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 학생들 모두 많이 참여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참여자의 ‘목소리’, 그 생생한 삶과 앎, ‘살아낸 경험(lived experiences)’을 이해하고자, 그래서 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질적 연구자의 꿈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질적연구는 과연 어떻게 작동해 왔으며, 어떤 잠재성이 표면으로 드러났고 어떤 잠재성은 주름 접혀 있는 것일까? 기법화된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경고음에 공명하면서 연구방법을, 데이터를, 우리의 삶과 앎을 새롭고 다르게 사유할 수 있을까? 이제 우리는 무엇을 욕망할 수 있을까?
(이진희 교수 강의자료 프롤로그 중)
∎ 강좌 일정 및 내용
차수 | 일시 | 주제 | 내용 | 강사 |
---|---|---|---|---|
1 | 2023.7.4.(화) 19:00~21:00 |
질적 연구자들의목소리와 그 너머 | ● 질적연구의 역사 Re-Membering ● 질적연구의 분투 ● 후기질적연구, 포스트휴머니즘, 신물질론과의 접속 ● (후기)질적연구자를 위한 제안과 새로운 시도 들 | 이진희(계명대 유아교육과) |
2 | 2023.7.6.(목) 19:00~21:00 |
질적연구의 새로운접근: 후기질적연구 | ● 후기질적연구의 등장배경과 포스트-철학 ● 후기질적연구자들이 선택하는 포스트철학과 새로운 개념, 그리고 질적연구의 지형 변화 ● 유아교육에서의 후기질적연구 | 이연선 (부산대 유아교육과) |
3 | 2023.7.11.(화) 19:00~21:00 |
포스트코딩 질적연구: 이론을적용한 질적자료 분석 | ● 질적연구에서의 의미 분석 ● 해석에서의 연구자 역할 ● 코딩의 이해 ● 회절로서의 이론 ● 포스트코딩을 향하여 | 임민정 (경북대 아동학부) |
4 | 2023.7.13.(목) 19:00~21:00 |
Visual Methodology로 질적연구 시작하기: 시각매체의 연구방법적 이해와 활용 |
● 질적연구에서 시각성(visuality)의 역사적 개념과 중요성 ● Visual Methodology의 특징과 방법, 윤리성 ● Visual Methodology로 이루어진 연구사례 소개 ● 유아와 함께 하는 연구방법에 대한 모색 | 동풀잎 (창원대 유아교육과) |